애플 제품을 사용하는 유저들에게는 애플의 리퍼 정책이 유용하게 사용됩니다. 하지만 무상리퍼는 제품에 대한 하자에 대해 리퍼해주는 정책이며 구매 후 1년 이내만 리퍼가 적용됩니다.
제품에 대해 리퍼가 적용되는 AS인지 서비스 점검을 받아봐야 하는 것을 염두해 둬야 합니다. 개인 부주의로 인한 리퍼는 비용이 들어갑니다.
네이버 포털사이트에서 애플을 검색해서 공인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.
www.apple.com/kr
홈페이지 메인화면은 신제품 출시나 리뉴얼로 인해 자주 바뀔수 있습니다. 근본적인 접근 방법은 동일하니 포스팅을 잘 확인 후 따라오시면 됩니다. 상부 메뉴를 보면 고객지원 메뉴가 있습니다. 고객지원 메뉴로 들어갑니다.
고객지원 설명중에 스크롤을 내리면 중간 즘에 제품이 여전히 보증 적용 대상입니까? 물음이 나옵니다. 이 부분을 클릭합니다.
클릭하면 하드웨어 일련 번호 입력과 자동 기입 방지 보안 문자를 입력해야 합니다. 애플 제품에 대해 많이 사용한 분들은 설정메뉴에서 일련번호를 찾을 수 있지만 잘 모르시는 분들은 설정 메뉴에 들어갑니다.
설정 메뉴에 들어가서 -> 일반 -> 정보로 이동하면 IMEI에 일련 번호가 있습니다. 이 번호를 홈페이지에 입력하고 계속 버튼을 클릭합니다.
다음 화면으로 넘어가면서 제품이 어떤제품인지 사진과 함께 일련번호도 같이 나옵니다. 그리고 수리 및 서비스 적용범위:활성에 보면 예산 만료일:2017년 6월 23일로 저는 적혀 있습니다. 아이폰6s를 사용한지 1년이 넘었기 때문에 무상 리퍼를 사용 할 수 없습니다.
지금까지 저는 아이폰이 고장과 결함이 없어서 리퍼 서비스를 받지 못했는데 꼼꼼히 확인해서 제품 자체에 대한 무상 수리 서비스를 이용하면 좋습니다.
'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컴퓨터 소리 녹음하는 방법 (0) | 2017.09.12 |
---|---|
동네날씨 기상청에서 확인하기 (0) | 2017.09.12 |
무료 티비 다시보기 (0) | 2017.09.11 |
사람인 연봉계산기 사용하는 방법 (0) | 2017.09.11 |
인터넷 전입신고 간단히 하는 방법 (0) | 2017.09.11 |